-
1-내림방식 접근 방법 자율 주행 자동차 프로그래밍카테고리 없음 2021. 4. 1. 20:42
최근에 자동차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를 통해 얻은 정보들을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오늘은 오토매틱 차량 프로그래밍 방법 중 톱다운 어프로치에 대해 준비를 했습니다.
Top-Down 어프로치는 의무론에 근거한 프로그래밍 방법입니다.의무론에서는 '도덕적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의 결과가 전부가 아니라 도덕적 행위의 옳고 그름은 특정한 윤리적 의무에 의한가 아닌가에 따라 결정된다'라고 주장하고 있어요.
즉, 행위에 의해서 나타나는 결과로 그 행위의 옳고 그름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행위가 특정한 윤리적 의무를 따르는가에 따라서 그 행위의 옳고 그름을 결정한다 라는 거죠.
그럼 이러한 의무론을 자율주행 자동차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의무론을 자율주행자동차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행위에 대한 윤리적 의무가 있어야 합니다. 현재 하향식 접근방식으로 자율주행자동차 행위에 대한 윤리적 의무는 아이작 아시모프 3원 규칙을 기본으로 합니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3원 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첫 번째 원칙: 로봇은 인간에게 해를 끼쳐서는 안 되며 위험에 처한 인간에 대해 모른 척 해서도 안 된다.제2원칙:제1원칙을 어기지 않는 한 로봇은 인간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3원칙:제 2원 규칙을 위반하지 않는 한 로봇은 자신을 지켜야 한다
요컨대 톱다운 접근법은 "인간에게 복종하는 자동화 자동차를 만들자!"고 주장합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의무론에 근거하고 의무론에서는 특정 윤리적 의무를 따른다면 그 행위는 옳다고 평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 정의(최진기),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자동차, 그리고 법(명승구 등)
부족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궁금하신 점이나 실수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