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나노와이어 Agnw 파헤치자 -2 【공지】휴대용 폰 소재카테고리 없음 2021. 4. 27. 16:57
안녕하세요~ Merry 2019입니다! :)
지난 시간에는 폴더블폰의 주 소재인 은나노와이어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제작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좀 더 자세하게 응용분야까지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폴더블폰 핵심소재 은나노 와이어 Agnwhtps://blog.naver.com/dudqja7819/221411036061
<은 나노와이어> 말 그대로 은소재로 나노 크기의 와이어입니다. 크게 핫하게 곽광받는 소재중 blog.naver.com
유망한 소재이지만 빛이 있으면 그림자도 있는 법! 단점이 있어요은나노와이어가 공기와 접촉하면 반응이 일어나므로 코팅해야 하며 (여기서 기존 방식처럼 고분자로 코팅하면 표면이 두꺼워져 투명도와 전기전도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햇빛에 은이 반사되어 하얗게 보인다는 "Haze현상"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하지만 최근 기술발전으로 점점 Hazz현상이 개선되고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 등을 보완하기 위해 은나노와이어에 산화 그래핀으로 코팅을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만!산화 그래핀이란?
얻는 방법 중 하나는 흑연을 먼저 벗기기 쉽고 강한 산화를 한 후 그래핀을 exfoliation하여
그래핀을 얻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기법에서 얻은 그래핀은 기본 그래핀과 비슷합니다:)
산화 그래핀으로 코팅된 은나노 와이어는 유연할 뿐 아니라 저항성과 내구성도 강하다고 합니다....!!
< Application >
이미 미래에는 휘어지는 것을 넘어 stretchable하고 wearable한 디스플레이와 전자기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은나노 와이어를 이용한 유연한 투명 전극이 위를 실현해 줍니다!
은나노와이어도 반복해서 구부리면 신뢰성이 떨어지고 한계성을 보입니다.그때 KETI에서는 은나노와이어가 접촉하는 부분을 강하게 접합시키는 소재를 개발하여 저한계성을 보완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중국의 한 전자기업 레노버에서
지난 2016년에 접을 수 있는 폴더블을 공개했습니다.
반을 접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 넓게 피우면 태블릿처럼 사용할 수 있는 이중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순산화를 위한 비용적, 기술적, 환경적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 양산되지 않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은 2019년 3월경, 은나노와이어 기술과 CNT 등의 기술을 이용한 유연한 폴더블폰을 양산화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만약 정말로 구부리고 접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그 폴더블이 내년에 삼성에서 정상적으로 출시된다면 현식이의 전자기기에 대한 바람은 다시 거세게 불지도 모르겠네요.
<시장규모와 동향>
마지막으로시장의규모와동향에대해서살펴보면,
위 그래프를 보시는 시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은 2015년 100억달러 규모에서 향후 2020년에는 50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전체 평판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약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리고 ITO 대체 필름 시장의 전망도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을 것입니다.시피 점점 증가하는 추세군요!
2012년부터 부쩍 늘고 있습니다.
ITO 대체 시장으로서 은나노와이어가 활발히 개발중인 상황에서 이러한 추세를 보고 은나노와이어 소재를 기반으로 한 터치패널은 폴더블폰, 디스플레이, 전자종이, 태양전지, 면발광체, OLED 등 다양한 분야로 활용 가능하며, 향후 인듐 소재를 대체하면서 응용분야가 점차 크게 확장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