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기 (feat 잭스 아님) 신의 지팡이 인공위성을 이용한 살상카테고리 없음 2021. 4. 19. 08:14
신의 지팡이 인공위성을 이용한 살상무기 (feat 잭스 아님)
이게오늘내용의주제입니다.
동영상 출처 : https://youtu.be CyYNBYedzqw 신의 지팡이라니?
인공위성을 만든 뒤 거기에서 무거운 것을 떨어뜨리고, 거기에 실린 운동에너지로 공격 지점을 파괴하는 우주 무기 운석이 지구에 떨어진다는 충돌 사건과 비슷한 개념으로, 6.1m*0.3m, 무게 9t 이상의 텅스텐 실린더를 마하 10의 속도로 지면에 충돌시키면 대략 TNT 11.5t의 파괴력이 생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ICBM의 낙하속도는 마하24정도 됩니다.기원을 살펴보자. 뿌레셋토
미군은 이 무기가 기관총을 수직으로 발사하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평가한 것입니다 작은 금속탄에 명중하면 우리 몸을 관통할 정도는 아니었고, 그냥 공중에다 뿌리면 그것으로 끝이었어요. 그리고 일반적인 폭탄과 달리 불발탄을 걱정할 필요도 없었습니다.
기원과 정의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장점과 단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 자체는 매력적이지만 아쉬운 점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하이 스피드 위성 궤도상에서 지표면까지 도달하려면 11 kms로 약 15분 걸린다. 15분이면 길겠지만 초당 11가량 고속으로 움직이는 물체는 요격은커녕 일반적인 방공망 수준으로는 탐지조차 매우 어렵다. 요격방법 중 ABL을 비롯한 레이저 무기는 미사일의 연료를 태우거나 탄두를 손상시켜 정상적인 격발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이지만 이쪽은 연료도 없고 무기로서의 위력도 탄두가 아닌 순수한 에너지에서 나오는 것이어서 별다른 대응이 어렵다.
▶ 탐지가 어려운 위성 궤도의 물체는 광학 식별이 어려우므로, 포구를 약간 위장해도 발사 순간을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물론 위성의 위치 자체는 우주레이더로 탐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발사 순간을 놓친다는 것은 목표를 쫓아가기도 어렵다는 것이군요. 즉, 공격에 대비할 시간과 수단이 거의 없습니다.
▶ 파괴력에 대한 환경오염이 경감되는 폭탄이 아니므로 폭발은 일어나지 않지만 이론상으로는 땅에 텅스텐봉을 대고 동시에 그 운동에너지로 인해 지표면이 플라스마 상태로 기화, 상당한 위력으로 폭발하지만 신의 지팡이는 기폭과정에서 방사능이 방출되는 핵무기와 달리 완전히 폭발만 일으킵니다.
▶막대한 운용비 궤도상에 인공위성을 유지하고 탄약을 보급하는 행위 자체가 상당한 비용을 소모합니다. 10t짜리 텅스텐봉을 자유낙하시켜 공격하는 무기체계인데, 이는 위성에 탑재된 탄약을 모두 소모하면 지상에서 로켓을 발사해 탄약을 보충해야 합니다. 당연히 우주까지 수십 톤 이상의 물체를 띄우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죠.
▶오폭, 부수 피해신인 지팡이 탄두는 범위 피해 가져온다. 지표를 관통하면서 폭발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부수 피해를 주는 벙커버스터와 달리 가속된 텅스텐봉이 지표면과 충돌해 플라스마화되면서 폭발을 일으키기 때문에 피해 범위가 훨씬 넓다. 미국처럼 땅덩이가 넓고 외진 곳이라면 몰라도 우리처럼 땅덩이가 좁은 나라라면 어디를 쏴도 민간인에게 피해를 줄 확률이 매우 높다.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큰 단점은 향후 그 무기가 상용화되지 않는 이유가 있습니다.1967년 우주 조약, 1977년 전략 무기 협정입니다.
위에서 기술한 모든 문제점을 제쳐두고 비록 핵무기급의 위력이 적당한 비용이라 하더라도 해당 조약과 협정으로 인공위성의 무기화 자체가 금지되어 있다. 더구나 방금 언급했듯이 문제점이 많은 무기체계를 사용하려고 국제적 조약을 파기하는 것은 진심으로 소중합니다.
만약 정말로 사용화된다면 텅스텐 재질로 비슷한 조건을 통해서 얼마나 강한 측정을 할 수 있는지 비교해 보았습니다. 철갑탄과 조금 유사할 수 있지만 어떻게 다른지 한번 알아봅시다.
철갑탄신 지팡이 무게 990g 8.8t 속도 3,200kmh 12,200kmh 충돌 에너지 8,100열 96.6기가줄 관통력 7.5cm 관통력 4,6km 충돌 에너지 1200만배!!
동영상 출처 : https://youtu.beQ6BZDFWZU9g 종료하면서 앞으로도 신의 지팡이는 상상 차원에만 머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미 공군 측은 해당 시스템을 여전히 미래에 도전할 수 있는 군사체계라고 설명한다. 장점 부분에 따른 것이지만, 그 중 하나는 목표물로 지구상 어디에서나 신속 정확하게 폭격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에 의한 2차 피해도 없을 뿐만 아니라 단점은 나중에 기술이 좀 더 좋아지면 충분히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나중에 더 좋은 상황이라면 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